
탄저병
- 학명
- Colletotrichum graminicola
- 영명
- Anthracnose
- 기주
- 한지형 잔디류
병징
- 발병 초기에는 잔디잎이 담황색을 나타내며. 병이 진전함에 따라 적갈색으로 말라죽는다.
- 감염된 잔디의 신초는 쉽게 뽑히며 검게 변한 지제부 줄기를 관찰 할 수 있다.
- 지제부에는 아래와 같은 증상과 포자를 관찰 할 수 있다.
- 발병 초기에는 패치를 형성하지 않지만 병이 진전됨에 따라 달무리 진듯한 형태의 패치가 형성된다.
- 감염된 잔디의 신초는 쉽게 뽑히며 검게 변한 지제부 줄기를 관찰 할 수 있다.
- 지제부에는 아래와 같은 증상과 포자를 관찰 할 수 있다.
- 발병 초기에는 패치를 형성하지 않지만 병이 진전됨에 따라 달무리 진듯한 형태의 패치가 형성된다.
발병생태
- 6월말부터 10월에 걸쳐 고온 다습한 시기에 그린에 주로 발생한다.
- 병징은 서늘하고 습할 때와 덥고 건조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.
- 서늘할 때는 지제부의 줄기썩음 증상이 나타나며, 병반주위가 수침상으로 되며 곧 검게 변색되어 황화 되거나 죽게 된다.
- 고온 다습할 때는 특히 토양이 건조할 때 병원균은 오래된 하엽에 쉽게 감염이 되고 노화를 촉진시키며, 잎의 병반은 타원형의 적갈색으로 나타나고, 점차 황색으로 변하여 결국 갈색으로 고사한다.
- 병징은 서늘하고 습할 때와 덥고 건조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.
- 서늘할 때는 지제부의 줄기썩음 증상이 나타나며, 병반주위가 수침상으로 되며 곧 검게 변색되어 황화 되거나 죽게 된다.
- 고온 다습할 때는 특히 토양이 건조할 때 병원균은 오래된 하엽에 쉽게 감염이 되고 노화를 촉진시키며, 잎의 병반은 타원형의 적갈색으로 나타나고, 점차 황색으로 변하여 결국 갈색으로 고사한다.
방제법
- 경종적인 방법으로는 핀 위치를 적절히 옮겨주어 집중적인 답압으로 인한 토양 고결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다.
- 인산과 칼리가 결핍하지 않도록 시비를 하고, 건조한 고온기에 질소시비가 과다하지 않도록 한다.
- 관수는 잔디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정도로 가끔씩 실시하고, 한 번 관수시 충분하게 한다.
- 늦은 오후나 야간 살수는 피하는 것이 좋다.
- 화학적 방제방법으로는 6월 하순에 예방적인 방제가 발병 후 치료적인 방제보다 효과적이다.
- 7~8월 고온기에 황화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예방시약을 한다.
- 인산과 칼리가 결핍하지 않도록 시비를 하고, 건조한 고온기에 질소시비가 과다하지 않도록 한다.
- 관수는 잔디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정도로 가끔씩 실시하고, 한 번 관수시 충분하게 한다.
- 늦은 오후나 야간 살수는 피하는 것이 좋다.
- 화학적 방제방법으로는 6월 하순에 예방적인 방제가 발병 후 치료적인 방제보다 효과적이다.
- 7~8월 고온기에 황화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예방시약을 한다.
본문
< 탄저병에 감염된 식물체에 형성된 분생포자층과 분생포자 >
관련제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