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달라스팟
- 학명
- Clarireedia jacksonii (이전 Sclerotinia homoeocarpa)
- 영명
- Dollar spot
- 기주
- 모든 잔디류 (난지형, 한지형)
병징
- 골프장의 그린과 같이 예고가 낮은 잔디밭의 병징은 동전크기의 주저앉은 듯한 반점형태의 패취로 나타난다.
- 병반의 크기는 직경이 5㎝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. 병징이 진전되면 서로 엉키어서 대형의 불규칙한 병반이 형성되기도 한다.
- 이슬이 잔디잎에 맺혀있는 이른 아침에 병원균은 가장 활성적이어서 균사가 하얀 솜털같이 병반 위의 지상부에 형성되기도 한다
- 병반의 크기는 직경이 5㎝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. 병징이 진전되면 서로 엉키어서 대형의 불규칙한 병반이 형성되기도 한다.
- 이슬이 잔디잎에 맺혀있는 이른 아침에 병원균은 가장 활성적이어서 균사가 하얀 솜털같이 병반 위의 지상부에 형성되기도 한다
발병생태
- 병원균은 잎 조직에 형성된 자좌(stroma)나 감염된 조직 내에서 균사의 형태로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생존하며, 전반은 감염된 식물체의 잔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.
- 병 발생은 늦은 봄부터 시작하여 늦은 가을까지 지속된다.
- 발병에 좋은 환경조건은 온화하고 습하고 이슬이 많이 맺히는 서늘한 야간기온 등이다. 발병온도는 15~30℃로 비교적 넓다.
- 그 밖에 발병을 조장하는 요인으로는 토양이 건조하고 상대습도가 높을 때, 질소 결핍시 등이다. 토양 pH나 인산의 함량은 본 병의 발생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.
- 병 발생은 늦은 봄부터 시작하여 늦은 가을까지 지속된다.
- 발병에 좋은 환경조건은 온화하고 습하고 이슬이 많이 맺히는 서늘한 야간기온 등이다. 발병온도는 15~30℃로 비교적 넓다.
- 그 밖에 발병을 조장하는 요인으로는 토양이 건조하고 상대습도가 높을 때, 질소 결핍시 등이다. 토양 pH나 인산의 함량은 본 병의 발생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.
방제법
- 발병시기에 질소 시비량을 높이고 살수는 습도 스트레스를 일으키지 않도록 가능한 한번에 충분히 하고 자주하지 않는 것이 좋다.
- 달라스팟 병원균은 약제저항성 유발이 쉬운 것으로 보고되어있으며 특히 anilazine, iprodione, benzimidazole (benomyl, thiophanate-methyl), 스테롤생합성저해제
(triadimefon, propiconazole, fenarimol)에 쉽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.
- 외국의 경우 약효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제보다는 혼합제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.
예) triadimefon(propiconazole, hexaconazole, tebuconazole)+iprodione, fludioxonil, metconazle, fenarimol
- 달라스팟 병원균은 약제저항성 유발이 쉬운 것으로 보고되어있으며 특히 anilazine, iprodione, benzimidazole (benomyl, thiophanate-methyl), 스테롤생합성저해제
(triadimefon, propiconazole, fenarimol)에 쉽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.
- 외국의 경우 약효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제보다는 혼합제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.
예) triadimefon(propiconazole, hexaconazole, tebuconazole)+iprodione, fludioxonil, metconazle, fenarimol
본문



관련제품